4. 경제

운전자보험, 과연 필요할까? 가입 전 꼭 알아야 할 점

Jindole_2 2025. 2. 10. 13:36

 

차량을 소유하고 운전하게 된다면, 자동차 보험이 필수인 걸 아실 거예요

하지만, 운전자 보험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적으실 수 있는데

오늘은 운전자보험과 자동차보험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자동차보험과 운전자보험의 차이

1. 의무가입여부

자동차 보험은 책임보험과 종합보험으로 나뉘는데 자동차보험은 책임보험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해요. 책임보험은 교통사고로 타인이 다치거나 타인의 차량·재물에 손해를 입혔을 경우 보상하는 보험이에요

이와 달리 운전자 보험은 필수 가입이 아닌 선택가입이에요

 

2.  보장 대상

자동차 보험은 사고로 인해 타인에게 입힌 피해나 타인과 나의 차량 파손 등을 보상해 줘요

대표적인 보장 항목으로는 대인배상, 대물배상, 자차손해, 자기 신체사고 등이 있어요

 

운전자 보험은 사고 처리 지원금, 벌금 등 운전자가 법적·재정적 책임을 지게 될 때 이를 보장해 줘요

대표 보장 항목으로는 사고 처리 지원금, 벌금, 변호사 비용 등이 있어요

 

다시 말해, 운전자 보험은 운전자 개인의 안전과 경제적 손해를 보호하는 보험이고

자동차보험은 차량과 차사고로 인한 피해를 보상하는 보험이에요

 

운전자보험 꼭 들어야 하나요 ?

저는 차를 운전한 지 7년 정도 되었고, 사고 경력이 없어요

그래서 자동차보험도 돈이 아깝다 생각하는데,

부수적인 운전자보험은 필요성이 전혀 없다 싶어서 1년 정도는 가입 안 했다가

주변에서 무조건 가입해야 한다는 말에 등 떠밀리듯 가입을 했어요

 

근데 정작 지금까지도 필요성은 잘 모르겠는데 보장 항목을 알아봤어요

 

1. 형사적 책임에 대한 보장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운전자는 사고 규모에 따라 민사적, 형사적, 행정적 책임을 져야 해요.

자동차 보험은 이 중 민사적 책임만 (상대 차량, 상대 신체) 보상하기 때문에

합의금이나 벌금 같은 형사적 책임 비용은 운전자가 부담해야 해요

이때 합의금 벌금 같은 형사적 책임 비용에 대해 보장해 주는 게 운전자 보험이에요

 

특히 12대 중과실 사고에 대해서는 피해자와 합의하더라도 형사 처벌을 피할 수 없는데

이럴 때 운전자 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형사적 책임 비용을 보장받을 수 있어요

※ 12대 중과실 사고
- 신호위반
- 중앙선침범
- 속도위반 (제한속도보다 20km/h 이상 과속)
- 앞지르기 위반
-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 위반
- 철길 건널목 통과방법 위반
- 무면허 사고
- 음주운전
- 보도침범
- 승객 추락방지 의무 위반
-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운전 의무 위반
- 화물고정조치 위반

 

가입을 할지 안 할지는 지극히 개인의 선택이므로, 제가 강요할 순 없는 것 같아요

보험 자체가 미래에 발생가능한 위험에 대한 보장이 목적이므로, 

발생 가능한 위험에 대해 민감하신 분들은 당연히 가입하고 둔한 분들은 안 하셔도 될 것 같아요

다만, 사회적 분위기가 대다수가 가입하는 느낌이라.. 저렴한 비용으로 가입하는 걸 추천드려요

아래는 금융소비자연맹에서 지난 3월 발표한 운전자 보험 평균 보험료예요

구분 평균 보험료
전체 12,791원
남성 13,537원
여성 12,045원

* 상해 1급, 자가용, 20년 만기 월납 기준

* 2024.03.13 금융소비자연맹, 운전자보험 비교조사 결과

 

위는 평균 가격일 뿐 가입하시는 분의 조건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각 보험사 보험료 조회를 통해 가격 비교를 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만약 가입하시기로 마음먹었다면 아래 3가지 보장은 필수로 드는 걸 추천드려요

① 교통사고 처리 지원금·형사합의 비용 ② 교통사고 벌금 특약 ③ 변호사 선임비용 보장

  • 교통사고 처리 지원금: 피해자가 사망 혹은 6주 이상의 상해를 입은 경우 합의금을 지원해 주는 특약
  • 교통사고 벌금 특약: 운전 중 사고로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혔을 경우 지원해 주는 특약
  • 변호사 선임비용 특약: 교통사고로 구속되거나 검사가 공소를 제기했을 때 변호사 선임 비용을 지원해 주는 특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