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상식

[EXCEL] VLOOKUP 왼쪽 값 구하는 방법

Jindole_2 2025. 2. 20. 23:52

VLOOKUP 함수의 경우 업무에서 활용도가 어마무시한 함수인데요

그래서 대부분의 분들이 사용법을 알고 계실 거예요

 

VLOOKUP 함수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값을 찾아주는데

VLOOKUP과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구하는 방법,

즉, VLOOKUP으로 왼쪽 값을 불러오는 식을 알게 돼서 정리해보고자 해요


VLOOKUP 함수

VLOOKUP(lookup_value, table_array, col_index_num, [range_lookup])

 

VLOOKUP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 상황을 예로 들어봤어요

학번과 이름 학년 학과가 나오는 테이블에서

학번을 입력하면 이름과 학년 학과를 가져오게 하고 싶을 때 사용해요

 

 

이름 셀에 =VLOOKUP(L3,B3:E11,2,FALSE) 라고 쓰게 되면

입력한 학번을 기준으로 이름을 가져오는 식을 만들 수 있어요

식을 뜯어서 보면 

 

첫 번째에 온 L3는 찾는 값을 의미해요

두 번째의 B3:E11은 값을 찾을 범위를 나타내고,

그다음 숫자 2는 두 번째 행을 가져오겠다는 의미예요

 

 

숫자만 이름에는 2 학년에는 3 학과에는 4를 입력하면

학번을 입력하면 정보를 가져오는 식을 만들 수 있어요

이처럼 VLOOKUP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값을 찾아줘요


VLOOKUP 왼쪽 값 구하기

VLOOKUP, CHOOSE 함수 활용

 

위의 예시와는 다르게 찾으려는 값이

학번의 왼쪽에 위치한 경우에는 VLOOKUP을 사용할 수 없어요

이 경우에는 VLOOKUP과 CHOOSE를 조합해서 값을 가져올 수 있어요

 

 

VLOOKUP과 CHOOSE의 배열수식을 활용할 수 있어요

학번을 기준으로 이름을 가져오고 싶다면

VLOOKUP(J15,CHOOSE({1,2},E15:E23,D15:D23),2,FALSE)를 입력하면

성공적으로 이름을 가져올 수 있어요

 

 

이름뿐만 아니라 다른 식들도 가져오고 싶다면,

 

 

{ } 안의 숫자를 가져오고 싶은 셀이 있는 곳까지 입력하면 돼요

학번을 기준으로 학과까지 정보를 가져오고 싶은데,

학과는 학번과 4 만큼 멀어져 있기 때문에

{1,2,3,4}를 입력하고, 뒤에는

찾는 값이 있는 셀(학번, E열)부터

찾고 싶은 값이 있는 마지막 셀(학과, B열)의 배열을 입력하면 돼요

 

 

 

VLOOKUP과 마찬가지로 이름을 나타내고 싶은 R열에는 위에서 본

=VLOOKUP(Q15,CHOOSE({1,2,3,4},E15:E23,D15:D23,C15:C23,B15:B23),2,FALSE)를 입력하고

학년에는 숫자를 3으로 바꾸고, 학과에는 4로 바꾸면 성공적으로 값을 가져올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