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상식

절을 몇 번 해야 할까? 장례, 사찰, 임금에 따른 절 횟수 차이

Jindole_2 2025. 2. 4. 09:38

 

오늘은 상황에 따른 절 횟수의 차이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흔히 알다시피 장례식장에서 고인에게는 절을 두 번 하고,

사찰에 방문하게 되면 부처님에게 절을 세번하게 되죠

 

상식으로 알고는 있었는데 그 이유가 궁금해서 공부하다 보니

왕에게는 절을 4번 한다는 것도 알게 됐어요


1. 고인에게 절을 2번 하는 이유는 ?

 

고인에게 절을 두 번하는 이유는 주로 공경과 존경을 표현하기 위한 전통적인 의식에서 유래한다고 해요

특히 불교에서는 돌아가신 분이 망자의 영혼이나 조상으로 여겨져, 그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방식으로 절을 두 번 해요

 

- 첫 번째 절은 돌아가신 분의 영혼에게,

- 두 번째 절은 돌아가신 분을 추모하고,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고자 하는 마음에서 행합니다

 

망자에게 복을 기원하고, 그들의 영혼이 편안하게 안식을 찾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고 해요


2. 사찰에서 절을 3번 하는 이유는 ?

 

사찰에서 절을 3번 하는 이유는 불교의 전통과 관련이 있어요.

일반적으로 불교에서 절을 세 번 하는 것은 부처님, 법(부처님의 가르침), 승(스님들)을 의미하는 삼보에게

존경과 예를 표하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첫 번째 절은 부처님에게

두 번째 절은 법(부처님의 가르침)

세 번째 절은 승(스님들)에게

 

삼보는 불교의 핵심적인 존재들이기 때문에, 절을 세 번 함으로써 이 세 가지에 대한

깊은 존경과 공경을 표현한다고 해요

이러한 의식은 불교 신앙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마음을 정화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임금에게 절을 4번 하는 이유는 ?

 

임금에게 절을 4번 하는 이유는 "사대"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어요.
임금에게 4번 절하는 것은 그가 천하의 주인이자 국왕으로서 국가와 백성을 대표하는 존재임을 존경하고,

그의 권위와 위엄을 인정하는 의미예요

 

첫 번째 절: 임금의 위엄과 권위에 대한 존경을 표시해요

두 번째 절: 임금의 정당한 통치와 법을 존중하고 따를 것을 다짐하는 의미예요

세 번째 절: 임금의 조정과 국가에 대한 복종과 충성을 다짐하는 의미예요

네 번째 절: 임금의 생명과 복을 기원하는 뜻으로 그의 통치가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어요

 

절을 4번 함으로써, 임금과 국가에 대한 충성과 복종을 다짐하는 동시에,

임금이 잘 다스려 모든 백성이 평안하게 살아갈 수 있기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어요.

이러한 예법은 한국 전통사회에서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국가의 안정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의식이었어요